감정을 기록하는 가장 쉬운 방법, 감정노트 쓰는 법
왜 감정을 기록해야 할까?
하루에도 수많은 감정이 스쳐간다. 기뻤던 일도 있었고, 속상한 일도 있었다. 하지만 우리는 대부분 그것을 그냥 흘려보낸다.
감정을 기록하는 순간, 그 감정은 더 이상 나를 휘두르지 않는다. 기록은 감정을 인식하고 정리하는 가장 확실한 도구다.
감정노트는 복잡하거나 거창할 필요 없다. 딱 세 줄이면 충분하다. 오늘의 기분을 있는 그대로 써보는 것, 그 자체가 회복의 시작이다.
첫 번째 줄: 지금 내 감정을 한 단어로 적기
슬픔, 불안, 지침, 기쁨, 설렘, 후회, 무력감, 만족감 등 단어 하나로 지금 상태를 명명하는 것만으로도 감정이 정리되기 시작한다.
“나는 지금 __하다”라는 구조로 써보자. 예: 나는 지금 지친 상태다 / 나는 지금 설레는 기분이다
단순하지만 강력한 인식 훈련이다. 감정은 정체를 파악하는 순간 약해지고, 다룰 수 있게 된다.
두 번째 줄: 감정이 생긴 이유 적기
이유를 쓰다 보면, 감정의 뿌리를 찾게 된다. ‘이유를 쓰기 어렵다’는 건 감정이 얽혀 있거나 억눌려 있다는 신호이기도 하다.
예: 일이 계획대로 안 돼서 / 무시당한 느낌이 들어서 / 괜히 혼자라는 생각이 들어서
구체적일수록 좋지만, 모호해도 괜찮다. 그저 떠오르는 이유 하나를 쓰는 것이 감정노트의 핵심이다.
세 번째 줄: 나에게 해주고 싶은 말
감정을 가장 잘 돌보는 사람은 결국 나 자신이다. 세 번째 줄에는 나에게 건네는 짧은 한마디를 적어본다.
예: 그래도 잘 견뎠어 / 오늘은 여기까지도 괜찮아 / 조금 울어도 돼 / 내일은 좀 다를 거야
이 마지막 문장은 단순한 위로를 넘어서, 자기 회복의 시작점이 된다.
감정노트, 하루 3줄이면 충분하다
감정은 기록될 때 정리되고, 정리될 때 치유된다. 말로 꺼내지 못했던 감정들을, 글로라도 정리해보자.
하루에 단 3줄이면 된다. 오늘 내 마음의 상태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. 그것만으로도 내일의 나는 더 안정된 상태가 된다.
이제, 오늘의 감정을 써보자. “나는 지금 어떤 감정이 들고 있나요?”